본문 내용 바로가기 주메뉴 바로가기

뉴스

  • 스크랩
  • 전자점자 뷰어보기
  • 전자점자 다운로드
뉴스상세조회 테이블
‘경기도 교통약자 광역이동지원센터’ 출범…300만 교통약자 이동권 증진 기대
작성자 관리자 작성일 2022-01-04
경기도내 300만 교통약자의 오랜 염원이었던 광역이동지원센터가 ‘경기도 교통약자 광역이동지원센터’로 공식 명칭을 정하고, 지난해 12월 27일 경기교통공사 내에 문을 열었다.  ⓒ 경기도청


경기도내 300만 교통약자의 오랜 염원이었던 광역이동지원센터가 ‘경기도 교통약자 광역이동지원센터’로 공식 명칭을 정하고, 지난해 12월 27일 경기교통공사 내에 문을 열었다. 이날 개소식과 함께 본격 출범한 경기도 교통약자 광역이동지원센터는 도내 시·군별로 운영 중인 ‘교통약자 특별교통수단 이동지원 서비스’ 사업을 총괄적으로 관리·조정하는 종합 컨트롤 타워 역할을 하게 된다. 이를 통해 도내 교통약자의 이동권 증진을 위한 기반을 조성할 전망이다. ■ 2022년까지 특별교통수단 법정대수의 200% 확보 계획 ‘특별교통수단’은 장애인, 고령자, 어린이 등 교통약자의 이동을 지원하기 위해 휠체어 탑승설비 등을 장착한 차량을 말한다. 교통약자의 이동편의 증진법 제16조에 의거해 각 시·군의 주체로 운영된다. 경기도는 지난 2018년 도내 교통약자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전국 지자체 최초로 오는 2022년까지 법정대수 558대의 200%에 해당되는 1,116대의 특별교통수단을 확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이후 최근 3년간 2,800억원 이상을 집중 투자, 현재까지 법정대수 779대의 약1.5배에 이르는 총 1,151대의 특별교통수단을 확보해 운영 중이다.

경기도는 지난 2018년 도내 교통약자들의 이동권 보장을 위해 전국 지자체 최초로 오는 2022년까지 법정대수 558대의 200%에 해당되는 1,116대의 특별교통수단을 확보하겠다고 밝힌 바 있다.   ⓒ 경기도청


■ 특별교통수단의 광역통합운영 위한 노력 기울여 경기도는 특별교통수단 차량 확보에만 만족하지 않고 경기도 교통약자 광역이동지원센터를 통해 특별교통수단의 광역통합운영 체계를 확립하기로 했다. 도는 광역이동지원센터가 특별교통수단의 운영을 효율화할 수 있을 것으로 보고 있다. 아울러 도내 12개 시·군에 한정된 특별교통수단의 운행지역 범위를 수도권 전 지역까지 확대함으로써 교통약자들의 이동 편의가 대폭 증대될 것으로 내다봤다. 기존에는 각 시·군별로 교통약자를 위한 정책들이 달라, 실제 이용자들이 행정구역을 넘나들 때 어려움을 겪기도 했다. 또한 차량확보나 운영비 조달에 어려움을 겪는 시·군도 있었다. 이에 따라 도는 31개 시·군과 협력해 전산운영시스템 연계성을 강화하고, 현재 시·군별 조례로 두고 있는 특별교통수단의 운행지역, 이용대상 및 요금 등 운영기준에 대한 정비도 병행했다. 또한, 더욱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 교통 및 전산시스템 전문가, 도의원 등 외부 자문위원을 위촉해 의견을 수렴하는 등 특별교통수단의 광역통합운영을 위해 노력해왔다. ■ 시·군마다 다르던 운영기준 통일된다 광역센터는 특별교통수단 사업조정과 정책개선, 광역이동지원시스템 운영·유지관리 등을, 시·군 센터는 배차 및 차량 운영관리, 이용대상자 접수, 운수종사자 관리 등을 맡는 등 역할을 분담해 운영의 효율화를 꾀하게 된다. 내년부터는 더 많은 시·군이 도내 광역 이동에 참여토록 유도하고, 시·군마다 다르던 이용 대상, 요금, 운행지역 등 운영기준의 통일화에도 나서 교통약자들의 이동 불편 해소와 더욱 원활한 서비스 제공에 박차를 계획이다. 운영기준 통일화는 그간 시·군마다 적용해 오던 자체 규정이 있고, 서로 행정 여건 등이 다른 점을 고려해 시·군 및 전문가 등으로 구성된 운영협의회에서 충분한 논의 과정을 거쳐 추진할 방침이다. 또한 도-시·군 간 전산시스템 연계·운영을 고도화해 운행차량의 목적지, 경로 및 실시간 이동상황 등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DB)로 축적, 교통약자 사업·정책에 활용할 수 있도록 내년 3월까지 시스템 공사를 완료할 계획이다. 시스템 구축이 완료되면 도-31개 시·군 구분 없이 각종 데이터 분석 결과를 공유·활용할 수 있어 운영비용을 보다 효율적으로 집행하고 이용률을 높이는 효과가 발생 될 것으로 기대된다.

이한규 행정2부지사는 이날 축사를 통해 “특별교통수단 사업에 대한 조정과 정책개선 강화로 효과성과 이용율을 높이는 데 주력해 나가자”고 밝혔다.  ⓒ 경기도청


■ 수도권 광역 이동 서비스로 확대 추진할 방침 경기도는 지난해 8월부터 시·군들과 특별교통수단의 도내 광역 이동과 전산시스템 연계·운영의 필요성을 수차례에 걸쳐 논의하고, 이후 올해 초 기본계획 수립을 시작으로, 추경을 통한 필수예산 확보, 전문인력 채용 등의 절차를 밟아 마침내 이번에 센터를 개소하게 됐다. 이날 행사는 이한규 경기도 행정2부지사, 박태희·원용희 도의원, 장애인 기관 대표 등이 참여한 가운데, 최근 코로나 확산에 따른 방역수칙 준수를 위해 50명 미만 규모의 ‘작은 개소식’ 형태로 간소하게 치렀다. 이한규 행정2부지사는 이날 축사를 통해 “이번 센터 설치를 통해 도내 300만 교통약자의 이동권 증진을 위한 기반이 조성되어 다행스럽게 생각한다”며 “특별교통수단 사업에 대한 조정과 정책개선 강화로 효과성과 이용율을 높이는 데 주력해 나가자”고 밝혔다. 경기도는 수도권 내 이동이 잦은 지리·행정적 여건 등을 고려, 장기적으로 서울·인천과 협력해 수도권 광역 이동 서비스도 추진할 계획이다.
본문 바로가기
뉴스이전글다음글
다음글 전통시장 111곳 현대화·화재안전강화 지원
이전글 새해 계획, 올해는 실천할 수 있을까? 작심삼일에서 벗어나는 방법
  • 정보제공부서 : 부천시 콜센터
  • 전화번호 : 032-320-3000

홈페이지의 서비스 품질 향상을 위해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얼마나 만족하셨습니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