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단메뉴 바로가기본문 내용 바로가기

커뮤니티

자전거로 만드는 친환경 녹색도시

부천시자전거통합|커뮤니티|언론보도상세

제목
올해 자전거도로 992㎞ 새로 만든다
작성자
관리자
등록일
2014-04-03
조회수
676
내용
국토부, 교통물류·무탄소교통수단 계획 확정…그린카·자전거·대중교통 활용 제고키로


정부가 대중교통·그린카·자전거 등 친환경 교통수단을 활성화해 올해 교통물류 부문 온실가스 배출량을 배

출전망치(bau) 대비 5.4% 감축하기로 했다. 올해 새로 조성하는 자전거도로만 326곳 992㎞에 달한다.


국토교통부는 이 같은 내용을 담은 '2014년도 지속가능 국가교통물류발전 시행계획'과 '2014년도 비동력·

무탄소 교통수단 활성화 시행계획'을 마련했다고 3일 밝혔다.


국토부에 따르면 올해 교통물류 부문 온실가스 실배출 목표치는 전망치(9497만t)의 5.4%(513만t)를 감축

한 8984만t이다. 2020년까지는 온실가스 배출량을 bau 대비 34.3% 줄인다.


이를 위해 교통 수요 관리를 강화하고 교통 운영을 효율화하기로 했다. 올 연말까지 주행거리비례보험제

시행, 자동차 공동이용제(카셰어링) 활성화 등을 위한 정부 지원 방안을 마련할 계획이다. 국도, 도시부도

로 19개 구간에 지능형 교통시스템(its)을 구축하고, 전국 4개 권역, 458㎞에 걸쳐 광역 버스정보시스템

(bis)도 적용한다.


또 광역급행버스, 간선급행버스(brt)에 대한 투자를 늘리고 대중교통전용지구 사업을 확대하는 등 버스

경쟁력을 확보하기로 했다. 오는 12월 제1종 교통물류거점 연계교통체계 구축대책을 시행하고, 동대구역

과 동래역에 복합환승센터를 짓는 등 대중교통 서비스를 질적으로 개선한다. 물류체계에서도 탄소배출을
 
줄이기 위해 인천, 서울 동남권, 광주 초월, 안성 원곡, 영동 황간 등 5곳에 물류단지를 새로 짓는 한편 기

업간 공동물류를 활성화한다.


친환경 교통물류기술 개발에도 나선다. 무선 충전형(olev) 전기버스(4대), cng버스(2030대), cng 하이

브리드버스(50대) 등 친환경 그린카를 적극 개발·보급하고, 차세대 고속열차(hemu-430x) 본선 시운전을
 
10만㎞ 이상 실시해 안전성을 높일 계획이다. 도시형 자기부상열차의 성능을 향상시키고 실용화를 위한
 
시범사업을 실시하는 등 지속적으로 시스템도 개선할 방침이다.


국토부는 이 같은 시행계획을 원활히 추진하기 위해 국고 2조5607억원, 지방비 6958억원, 민간 자본 5666

억원 등 총 3조8232억원을 투입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자전거, 보행 등 비동력·무탄소 교통수단을 활성화하기 위해 예산 1924억원을 투입한다. 보행자

의 이동 편의와 안전을 확보하고자 올레길·둘레길·문화생태탐방로·차 없는 거리 등 보행전용도로를 43곳,
 
464㎞ 늘린다. 유치원·초등학교·특수학교에 어린이 보호구역 360곳을 지정해 보호구역 표지, 과속방지턱,

방호울타리 등 교통안전시설을 확충한다. 어린이 보호구역, 도시공원 등 3630곳에는 cctv가 설치된다.


자전거도로도 늘어난다. 올해 국도 43㎞, 김포한강·위례신도시 등 도심공간 17㎞, 4대강 외 국가하천 84㎞,
전국 도시 992㎞(326개 구간)의 자전거 도로가 새로 생겨난다. 또 시민들이 편리하게 자전거를 이용할 수
 
있도록 공공자전거 8233대를 보급하고 지하철, 버스정류장 등 787곳에 1만4265대 규모의 자전거 주차장

을 설치할 계획이다. 또 통학·통근시 자전거 이용을 유도하기 위해 자전거 시범학교 64곳을 지정하는 한편
 
우수한 자전거 이용·장려 정책을 펴는 업체와 기관에는 다양한 인센티브를 제공한다.


국토부 관계자는 "이번 계획으로 교통 부문의 에너지 절감과 온실가스 감축, 지역 경제 활성화를 꾀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고 말했다.






[출처] [아시아경제 박혜정 기자]
2014.04.03 11:00

목록

  • 부천도우미
  • 정보제공부서:건설정책과
  • 전화:032-625-9096
  • 시민 만족도 조사
    홈페이지의 서비스 향상을 위한 시민 여러분들의 만족도 조사를 실시하고 있습니다. 이 페이지에서 제공하는 정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하셨습니까?